DIFF 메신저


올 여름 대구 단편영화제에서의 관객분들의  '질문' 그리고 '소감'을 대신 전달 드리고 

감독님들과 배우님들의 '답'이 도착하였습니다!


제22회 대구단편영화제의 여운과 함께 

GV의 아쉬움을 달래보세요! :)







<실> 이나연 조민재


제21회 대구단편영화제 DIFF 메신저


<실> 이나연 조민재


Q1. 아프리카에도 배추가 자라나, 작은 빛, 실 모두 저들이 지금 연기를 하고 있는 게 맞나? 어떤 공간에 카메라가 마침 있었고 난 그것을 어쩌다 보게 된 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만큼 자연스러운 연기가 돋보입니다. 이걸 어떤 장르로 설명한다면 무엇이 될까요? 페이크 다큐도 아니고. 무튼 작품을 먼저 보고 감독을 맞출 수 있을 만큼 두 분의 작품이 확실한 성격을 띄는데 앞으로도 이런 영화를 만드실 생각인지, 그렇다면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해요. 세 작품 밖에 못본 저의 경험을 토대한 질문입니다. 수상 축하드립니다.


<영화사 낭>에서는 주로 다루는 주제는 몸, 공간, 이 주이기 때문에 서사를 굵은 한줄기로 뻗어 나가는 것이 아닌 디아스포라처럼 흩어진 표현을 연결하고 지형도를 그려나가는 서사의 형태로 작업하고 있습니다.


Q2. 이나연, 조민재 감독님께 : 영화 정말 집중해서 잘 봤습니다. 저는 사실 아직도 출연진분들이 연기를 하신 것인지 하지 않은 것인지 헷갈릴 정도로 사실적인 작품이었는데, 그래서인지 영화를 계속 보다보면 어느 순간 다큐와 극의 구분이 희미해지면서 주인공들(로 대표되는 업계 종사자분들)의 삶에 어느 때보다 진실되게 몰입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어떻게 이런 특별한 연출 방식을 택하게 되셨는지, 그 때문에 연출하는 데 어려움은 없으셨는지 궁금합니다.


사건보다는 사람과 공간에 숨겨진 표현을 감각하려고 노력합니다. 간혹 극 중 인물 사무엘같이 몸과 공간에 쌓인 표현을 목적의 정확성을 위해 단순하게 번역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하지만 비언어를 할 수 있는 한 상실 없이 번역하는 과정에서 창작의 의미를 찾고 있습니다.


Q3. 이나연 감독과 조민재 감독이 공동 연출했습니다. 엔딩 타이틀을 보면 이나연 감독이 드라마 연출이라고 나옵니다. 두 분이 <실>을 찍을 때 어떻게 협업을 하셨는지요?


영화사 낭으로 제작할 때는 모든 부분을 협업해서 작업합니다. 이번 <실> 같은 경우는 가려진 여성 노동자의 표현을 상실없이 발굴해나가는 작업이기 때문에 연기연출과 현장을 이나연 감독이 주도적으로 이끌었습니다.


Q4. <실>은 조민재 감독의 어머니이신 이명선님의 빠르고 능숙한 손과 천진한 미소와 창신동 골목의 모습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 어머니의 물흐르듯 자연스러운 연기는 감탄을 자아내게 합니다. 어머니와는 어떻게 의견을 주고 받으셨는지요?


<실>을 기획하고 촬영까지 2년이라는 시간 동안 어머니의 일상을 듣고 기록하면서 공간과 몸 그리고 표현을 서사로 연결하고 영화로 환원하는 과정은 저에게 어머니가 아닌 김명선이라는 사람을 입체적으로 감각하는 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