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공간, 영화에 대한 나름의 연출론 Sound, Place and Cinema (이병기, 2018, 극, 16min, 국내경쟁)
귀를 기울이면
창작자는 무언가를 표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존재다. 그리고 때로는 그 길고 지난한 고민의 과정 자체가 하나의 결과물이 되기도 한다. 펠리니라는 이탈리아 영화감독은 어느 날 뭘 찍어야 될지 몰라서, “뭘 찍어야 될지 몰라하는 영화 감독 이야기”를 만들어 영화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물론 누구나 그렇게 메타적인 사고방식을 갖고 인생을 살진 않겠지만, 여하튼 고민이라는 건 창작하는 사람에겐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정이다.
<소리, 공간, 영화에 대한 나름의 연출론>은 올해 내가 본 3백여편의 영화 중에 가장 긴 제목을 가진 영화이자, 가장 도발적인 작가의식을 가진 영화다. 얼핏 영화제보단 미술관에서 발견될 것 같은 제목을 갖고 있지만, 영화라는 매체와 그것의 기능에 대한 고찰,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의 작품에 대한 한 감독의 진지한 고민이 배어 있다. 물론 분명 실험적인 요소가 다분한 영화이고, 어쩌면 누군가는 이 영화의 형식과 방향에 동의하지 못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건 또 그것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공통의 현상을 체험한 후, 서로 의견을 내고 거기에 열심히 귀를 기울이는 것. 영화 역사의 모든 발전 과정은 결국 거기서 출발했기 때문이다.
제19회 대구단편영화제 관객리뷰어 최은규
소리, 공간, 영화에 대한 나름의 연출론 Sound, Place and Cinema (이병기, 2018, 극, 16min, 국내경쟁)
귀를 기울이면
창작자는 무언가를 표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존재다. 그리고 때로는 그 길고 지난한 고민의 과정 자체가 하나의 결과물이 되기도 한다. 펠리니라는 이탈리아 영화감독은 어느 날 뭘 찍어야 될지 몰라서, “뭘 찍어야 될지 몰라하는 영화 감독 이야기”를 만들어 영화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물론 누구나 그렇게 메타적인 사고방식을 갖고 인생을 살진 않겠지만, 여하튼 고민이라는 건 창작하는 사람에겐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정이다.
<소리, 공간, 영화에 대한 나름의 연출론>은 올해 내가 본 3백여편의 영화 중에 가장 긴 제목을 가진 영화이자, 가장 도발적인 작가의식을 가진 영화다. 얼핏 영화제보단 미술관에서 발견될 것 같은 제목을 갖고 있지만, 영화라는 매체와 그것의 기능에 대한 고찰,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의 작품에 대한 한 감독의 진지한 고민이 배어 있다. 물론 분명 실험적인 요소가 다분한 영화이고, 어쩌면 누군가는 이 영화의 형식과 방향에 동의하지 못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건 또 그것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공통의 현상을 체험한 후, 서로 의견을 내고 거기에 열심히 귀를 기울이는 것. 영화 역사의 모든 발전 과정은 결국 거기서 출발했기 때문이다.
제19회 대구단편영화제 관객리뷰어 최은규